트럼프 관세 정책으로 보는 무역과 정치의 관계
관세는 단순한 세금이 아닙니다. 트럼프 행정부의 무역 정책을 중심으로, 관세가 정치·외교 전략에 어떻게 활용되는지 분석합니다.
안녕하세요! 저는 9년차 관세사로, 기업의 수출입 대행, FTA, 관세심사 등 관련 컨설팅을 수행해왔습니다.
무역은 단순한 상품의 거래를 넘어선 국가 간 정치와 외교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는 민감한 영역입니다.
오늘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정책 사례를 통해 무역과 정치가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1️⃣ 무역은 왜 정치와 얽히는가?
무역은 국가 간 상품과 서비스를 사고파는 경제 활동입니다.
하지만 이 단순한 거래가 정치적 갈등이나 외교 전략과 엮일 때, 예기치 못한 변수들이 발생합니다. 대표적인 사례가 바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입니다.
2️⃣ 트럼프 관세 정책 요약 : 2018년 vs 2025년
💠 2018년 : 트럼프는 '미국 우선주의'를 앞세워 중국산 제품과 철강 · 알루미늄에 고율 관세를 부과하며 미중 무역전쟁을 촉발했습니다.
💠2025년 : 다시 집권한 트럼프 대통령은 전 세계 수입품에 기본 10% 관세를 부과했다고 발표하고, 한국(25%), 중국(34%), EU(20%) 등 주요 교역국에는 추가 관세 방침도 예고했습니다. 2025년 7월 현재는 오는 8월 1일 관세 부과 시한을 앞두고 각국과의 고위급 협상이 진행 중입니다.
3️⃣ 관세 정책이 가져온 경제적 파장
트럼프의 관세 정책으로 미국의 평균 실효 관세율은 2.5%에서 16.6%로 급등했고, 이는 소비자 물가 상승, 기업 투자 위축, 무역 불확실성 심화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특히 한국 기업들은 중국 경유 부품 수출 시 미국 고율 관세 대상이 되면서 FTA 활용 전략이나 생산지 다변화 등 적극적 대응이 필요한 상황입니다.
4️⃣ 마무리하며: 실무자는 어떤 시각을 가져야 할까?
무역은 정치 · 외교의 흐름에 따라 민감하게 변화합니다.
실무자는 단순히 수출입 규정을 넘어 국제 정세와 통상 전략까지 폭넓게 이해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 블로그에서는 저의 실무 경험을 토대로, 앞으로도 무역과 관세에 대한 쉽고 실용적인 정보를 전해드릴 예정입니다.
다음 글에서는 무역에서 필수적인 'HS코드'란 무엇인지에 대해 무역의 핵심 언어를 살펴보겠습니다.
'무역 실무 입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관세'가 뭐에요? 초보자도 이해하는 관세 이야기 (9) | 2025.07.22 |
---|---|
원산지증명서(CO, Certificate of Origin), 어떻게 준비하고 보관할까? (5) | 2025.07.22 |
원산지 결정기준 쉽게 정리하기_FTA 활용을 위한 첫걸음 (2) | 2025.07.22 |
FTA, 담당자가 알아야 할 핵심 요약 (3) | 2025.07.22 |
HS코드란? 상품 분류의 핵심 개념 정리 (5) | 2025.07.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