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경제신문 분석11

[한국경제신문 분석 #11] 한미 FTA 0% 관세 무력화! 15% 관세 폭탄 맞은 한국 자동차 산업 분석 안녕하세요. '작은 경제, 큰 이야기'에서 11번째로 함께 볼 기사는 한국경제신문 2025년 8월 1일자에 실린 "FTA효과 사라졌다...韓 자동차, 日·EU와 같은 출발선에"입니다. 7월31일 어제 트럼프가 한국에 대해 15%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혔죠. 관세사의 시선으로 이 기사가 왜 중요한지, 한국 자동차 산업이 직면한 위기와 사라진 가격 우위를 만회할 수 있는 3가지 생존 전략은 무엇인지 함께 살펴보시죠! 1. 'FTA 효과 사라졌다?' 한국 자동차 산업에 닥친 위기기사의 핵심은 바로 이것입니다. 미국이 한국산 자동차에 15%의 관세를 부과하기로 하면서, 기존 한미 FTA를 통해 누려왔던 0% 관세의 혜택이 사실상 무력화되었다는 점입니다. 이는 한국 자동차 산업에 매우 치명적인 변화입니다. 경쟁.. 2025. 8. 1.
[한국경제신문 분석 #10] 셀트리온 미국 공장 인수, 왜? 요새 인터넷 곳곳, 그리고 신문 지면에서도 '관세'라는 주제가 정말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특히 트럼프 2.0 관세 정책때문에 여기저기서 관세 이야기가 봇물 터지듯 나오고 있죠. 사실 저도 관세사로서 이 현상이 정말 신기하고 흥미롭습니다. 제가 매일같이 다루는 '관세'라는 주제가 이렇게까지 큰 토픽에 오르내리다니요! 그런데 웃을 수만은 없습니다. 실무에서는 이 관세가 기업들의 정말 큰 이익/손실을 넘어서 국가 경제까지 쥐고 흔드는 중요한 문제이기 때문에 매일 정신이 없는 나날이거든요. 😵‍💫 이번엔 셀트리온이 미국의 의약품 관세 강화 움직임을 피하기 위해 미국 공장을 인수한다는 기사인데요. 내용 살펴보겠습니다.1. [기사 요약] 셀트리온의 '묘수', 미국 공장 인수!셀트리온이 미국 현지 공장.. 2025. 7. 30.
[한국경제신문 분석 #09] 美 협상 카드로 부상한 'AI 반도체'...삼성, 테일러 공장 추가 투자 나설까? 최근 미국 정부가 'AI 반도체'를 전략산업으로 공식화하며 반도체 투자에 새로운 조건을 붙이기 시작했습니다. 우리 기업들이 마주한 현실과 그에 따른 관세 · 무역 실무 이슈를 함께 살펴봅니다.1. [기사요약]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전격 미국행, 관세협상 지원사격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29일 미국 워싱턴DC로 출국하면서 인공지능(AI)반도체가 새로운 한·미 관세협상 카드로 부상하고 있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잘하는 고대역폭메모리(HBM) 등 고성능 메모리 반도체가 글로벌 AI 산업 생태계를 구성하는 핵심 부품이 되면서 AI 패권을 확보하기 위한 미국의 협력·투자 요청이 이어지고 있어서다. (...)이날 워싱턴DC행 비행기에 오른 이 회장의 주요 출장 목적 중 하나는 이틀 앞으로 다가온 미국과의 관세협.. 2025. 7. 30.
[한국경제신문 분석 #08] 2025.07.28 'K캔커피'의 글로벌 도전, hy·롯데의 RTD 커피 전략은? 안녕하세요! 저는 9년차 관세사로 한국경제신문 속 다양한 기사들을 통해 국내 기업들의 글로벌 시장 진출 전략을 쉽고 깊이 있게 분석해드리고 있습니다. 오늘 한국경제신문 기사를 통해 살펴볼 주제는 바로, 우리에게 너무나 친숙한 'Let's Be' 와 같은 캔커피를 앞세워 세계 시장에 도전하는 hy(한국야쿠르트)와 롯데칠성음료의 이야기입니다.BTS, 블랙핑크, 요즘 화제인 'K팝 데몬헌터스'까지- K팝과 K드라마에 이어 이제는 'K-커피'가 새로운 한류 콘텐츠로 떠오를 수 있을 지! 두 기업이 펼치는 전략을 중심으로 함께 살펴보겠습니다.1. [기사요약] 'K캔커피'들고 글로벌 공략 나선 hy·롯데국내 즉석음용(RTD/ready to drink)커피 기업들이 해외 시장 공략에 나섰다. 국내 시장이 저가 커피 .. 2025. 7. 28.
[한국경제신문 분석 #07] 2025.07.28 뜨거운 감자 ‘온플법’, 미국은 왜 반대할까? 안녕하세요. 저는 9년차 관세사로 다양한 수출입 및 통상 이슈를 현장에서 직접 경험하고 있습니다.오늘은 쿠팡·배달의민족·구글·애플 등 대형 플랫폼 사업자와 관련해 뜨거운 이슈로 떠오른 ‘온라인 플랫폼 공정화법’ 일명 '온플법'을 함께 살펴보려 합니다.1. [기사요약] '관세협상 뇌관'된 온플법 ... "전면 재검토해야"이재명 대통령 대선 공약인 '온라인 플랫폼법'(온플법)이 한·미 관세 협상의 뇌관으로 부상하자 정부의 고심이 커지고 있다. 구글, 애플 등 미국 빅테크 업계가 반발하는 데 이어 최근에는 미국 하원까지 한국 공정거래위원회에 직접 설명을 요구하며 압박 수위를 높이면서다. 단순 유예를 넘어 법안을 전면 재검토해야 한다는 분석도 나온다.(출처: 한국경제신문, 2025.07.28, A2면, 하지은/.. 2025. 7. 28.
[한국경제신문 분석 #6] 2025.07.26 사케 수입 사상 최대.. 일본 여행과 소비의 변화 안녕하세요! 저는 9년차 관세사로 다양한 기업의 수출입 실무를 현장에서 직접 지원하고 있습니다. [한국경제신문 분석] 5번째 시리즈에서는 급변하는 통상 환경 속에서 최근 사상 최대치를 기록하고 있는 사케 수입 현황을 심층 분석하고, 수입업체들이 반드시 알아야 할 관세 실무 유의사항을 자세히 파헤쳐 보고자 합니다. 이 포스트는 사케를 사업 목적으로 수입하시려는 '수입업체'를 위한 정보이며, 개인이 자가 소비 목적으로 해외직구를 하실 경우에는 관세 및 통관 절차가 다르게 적용될 수 있음을 미리 알려드립니다. 추후에 주류 해외직구에 대해서도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 목차 1️⃣ [기사 요약] 日 여행 다녀온 사람 늘더니 상반기 사케 수입량 사상 최대 2️⃣ 사케의 인기는 왜 이렇게 뜨거.. 2025. 7. 27.